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펀드에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상식들
    Economy 2020. 8. 19. 10:41


    펀드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꼭 알아야 할 상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펀드(Fund)란 영어로 어떠한 목적을 위해 모인 돈 즉 기금을 의미하는데요. 사람들이 흔히 펀드를 드는 이유는 직접 투자를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주식 시장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위탁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보통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온종일 호가 창을 볼 수도 없는데요. 펀드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는데 기금이 주식에 투자하면 주식 펀드가 되고 부동산을 투자하기 위해 모이면 부동산 펀드이고 채권에 투자하려고 하면 채권 펀드가 됩니다. 그 밖에도 엔터테인먼트 중국, 선박, 경매 등등 투자하는 종목에 따라 그 종류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펀드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펀드를 운용하는 증권사나 은행을 찾아가서 투자하면 됩니다. 기관이나 은행에 돈을 맡기게 되면 전문 투자자들이 자금을 운용해 주는데요. 돈을 위탁해서 운영해주는 것 그 자체로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요. 이는 손실이 나더라도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입니다. 또한, 수익이 날 때 수익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 일정 부분 지불해야 합니다.


    펀드에 투자했다면 투자자의 투자금은 펀드 운용사로 가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펀드 매니저가 투자금을 횡령하거나 지인의 회사에 아무 근거 없이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런 상황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펀드 투자금은 수탁사에 갑니다. 수탁사는 정부 차원에서 고객의 돈의 안전성을 위해 고안해 난 정책인데요. 고객의 자금을 직접 펀드 매니저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수탁사의 역할을 하는 은행에 지침을 전달하고 은행이 시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물론 대부분의 거래는 펀드 매니저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지만, 만약 말도 안 되는 투자를 통보할 때는 투자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또한 있습니다. 이렇게 펀드 매니저를 견제할 수 있는 수단을 수탁사 제도라고 합니다. 이렇게 펀드 매니저들을 감시하는 제도는 사무관리회사도 있는데요. 사무관리회사가 하는 일은 펀드 매니저들의 성과를 매일 발표하는데요. 펀드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여러 업무를 처리하기도 하지만 1원 단위까지 계산해서 수익 여부를 발표하고 펀드 매니저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합니다. 펀드 투자자들은 어떤 펀드에 들어야 하는지 알기가 어려운데요. 종류도 너무나 많고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어느 정도의 수익을 가져다줄지 전문가가 아니므로 알기가 어렵습니다. 투자하는 상품을 잘 알지 못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어서 펀드 상품들을 평가하기 위해 펀드평가사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펀드 평가사는 해당 펀드가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지 과거에는 어떻게 운영이 되었는지 심층 분석을 보여주는데요. 해당 상품을 완전히 해부한 정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무엇보다 펀드평가사가 제공하는 정보는 무료이기 때문에 펀드에 투자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본격적으로 투자하면 수익증권을 받게 되는데요. 보험 상품에 비교하자면 보험 가입 계약서 같은 것으로 사고가 났을 때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처럼 수익 증권은 해당 펀드 상품에 투자했다는 증서입니다. 통장에 표시되며 수익이 나서 수익금을 받게 될 때 수익증권에 따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수익 증권을 세는 단위는 ‘좌’인데요. 100개의 수익증권을 사면 100좌로 통장에 표시됩니다.


    이제 투자까지 했으면 펀드매니저가 얼마나 잘 운영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야 하는데요. 그 판단을 하려면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 가격이 바로 기준가격인데요. 예를 들면 100원짜리 상품에 투자해서 200원이 되었다면 잘 운영하고 있다는 뜻인데요. 이렇듯 해당 금융 상품의 원래 가격을 기준가격이라고 합니다. 이 가격은 매일 고지되기 때문에 언제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기본적으로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높을 수익률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수익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손실을 보는 경우도 많아서 투자에 언제나 신중해야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